[앵커]미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국가별 상호 관
[앵커]미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국가별 상호 관세를 우리 시각 오늘 오후 1시부터 부과합니다.보복으로 맞선 중국은 104%의 관세를 물게 되는데요.현지에 도착한 우리 통상교섭본부장도 미국 측과 관세 협의에 나섭니다.워싱턴 김경수 특파원입니다.[리포트]미국의 상호 관세는 미국 동부 시각 9일 0시 1분부터, 우리 시각으로 오늘 오후 1시 1분부터 발효됩니다.특히 미국은 보복 관세로 맞선 중국에 대해 관세 50% 추가한다고 밝혔습니다.기존 추가 관세와 상호 관세까지 더하면 중국의 관세율은 104%에 이릅니다.[캐롤라인 레빗/미국 백악관 대변인 : "중국의 보복은 실수입니다. 미국이 공격을 받으면 더 강하게 반격한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오늘 자정, 중국에 104% 관세가 발효됩니다."]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맞춤 협상을 실무팀에 지시한 가운데, 백악관은 협상에서 동맹을 우선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맞춤형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이라면서 해외 원조나 미군 주둔 비용 등도 협상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미국 무역대표부 대표는 관세보다 더 나은 방법을 갖고 오면 협상이 가능하다며 가이드라인까지 내놨습니다.[제이미슨 그리어/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 "만약 상호주의를 달성하고 미국 무역 적자를 줄일 더 나은 아이디어가 있다면, 우리는 대화할 거라고 각국에 말했습니다. 미국은 협상을 원합니다."]국가별 관세 발효를 하루 앞두고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에 도착해 본격 협상에 나섰습니다.우리가 잘하는 산업을 지렛대로 삼아 미국과 협의하겠다고 말했습니다.[정인교/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 "목표는 상호 관세를 아예 없애는 것이고, 그게 정 어렵다면 일단 낮춰 나가는 건데, 어쨌든 단계별로 접근을 해서 미국 측과 원만한 협의를 이끌어내도록 하겠습니다."]정 본부장은 협상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는데, 관세 부과 뒤에도 한동안 한미 관세 협상이 타결되긴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신형/자료조사:김나영 박은진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이인우 기자]가습기살균제 간질성폐질환 피해유족과 피해자단체가 2025년 4월 8일, 환경부를 강하게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하며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와 거짓 해명에 분노를 표출했습니다.이들은 환경부가 피해자들의 절박한 목소리를 외면하고, 실효성 없는 대책으로 일관하며 14년째 고통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성명서에 따르면, 환경부는 전체 피해자 7999명 중 간담회 참석자 360명을 근거로 "정부 주도의 신속한 집단 합의를 대체로 희망했다"고 주장했으나, 이는 명백한 거짓이라는 입장입니다.피해자단체는 "간담회에서 거수로 찬반 투표라도 했습니까? 하지도 않은 투표로 어떻게 희망 여부를 단정할 수 있습니까?"라며 환경부의 주장을 "터무니없는 범죄 행태"로 규정했습니다. 또한, 피해자들이 개인별 피해 인정과 등급 판정에 이의를 제기하며 간담회에서 쏟아낸 절규를 환경부가 "개별 민원"으로 치부하며 재심사 절차 안내로 일축한 점도 지적했습니다.피해자들은 "아픈 몸을 이끌고 먼 길을 찾아가 호소한 외침을 제도 몰라 하는 푸념으로 취급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이는 단순 실수가 아닌 "생명과 미래를 빼앗긴 이들을 철저히 무시하는 악질적 행태"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집단합의 희망은 거짓… 배보상지원법 전면 재개정하라!"피해자들은 현재의 구제법이 현실과 동떨어진 구제급여 항목과 금액으로 실질적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지적하며, '배보상지원법'의 전면 재개정을 요구했습니다. 구체적으로 ▲ 피해자 데이터와 전문가 소견을 반영한 질환 인정 및 전신질환에 적합한 건강등급 평가 ▲ 평생 의료비(비급여 포함) 전액 지원 ▲ 생활 보장과 정신적 피해 배상 ▲ 신규 질환 인정과 판정 기간 1개월 내 단축 ▲ 피해자 단체 문서의 무조건 수용 및 실행 등을 촉구했습니다.성명서는 "가해부처 환경부는 국민을 보호하고 문제를 해결할 책임이 있는 기관"이라며, "14년이 지나도록 실질적 대책 없이 거짓과 무책임으로 일관하며 국가폭력을 저지르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피해자들은 공동정범으로 지목된 국가정부와 가해 기업, 환경부가 언제쯤 본질을 직시하고 실효성 있는 해결책을 내놓을지 의문을 제기하며, 절망 속에서 정의를 외쳤습니다. 피해자와 유족들은 "국민은 지켜보고 있다. 더 이상의 외면과 거짓은 용납되지 않는다"며, 14년간 이
[앵커]미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국가별 상호 관
댓글목록0
댓글 포인트 안내